이것저것 잡지식2022. 6. 30. 03:04
반응형

이전엔 보통 에어콘 냉매 r134a 사용했습니다

지구 온난화지수가 높아 점차 규제가 되어 

요즘은 보통 r1234yf를 사용합니다 

 

 R-134a 냉매

유럽에서는 오존층 파괴지수(ODP)를 가지는 냉매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그 대체로 나온 냉매입니다.

만들어질 당시에는 신냉매로 각광받았으나,

현재는 높은 지구온난화지수(GWP)때문에 유럽에선 차츰 규제되고 있는 냉매입니다.

가연성이 없어 폭발의 위험성은 크지 않습니다.

HFC냉매로 구분됩니다.(HFC-134a)

 

R-1234yf 냉매

 냉매는 지구 온난화지수가 4이고, 오존층 파괴지수도 0이어서 유럽 환경법규에서 요구하는 GWP 150 이하를 만족하는 환경 친화적인 냉매이다. 또한, 독성이 없고 대기 중에서 분 해되는 속도가 기존 R134a 냉매보다 훨씬 빠른 시간에 분해되어 없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특성 

Capacity(용량) :  기존의 HFCs냉매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Efficiency(효율) : 기존의 HFCs냉매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Pressure(압력) :  기존의 HFCs냉매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Enviromental Effect(환경적 영향) : ODP(오존층파괴지수)가 0이며, GWP(지구온난화지수)가 4인 친환경적인 냉매입니다. 때문에 EU에서는 자동차 공기조화기로써의 냉매로 적극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Flammability(가연성) : 약간의 미연성이 있어 누출 시, 화재/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Toxicity(독성) : 독성은 없습니다. 물론 대량 누출 시 질식의 위험은 있습니다.

Availability of refrigerant(냉매의 가용성) : 매우 친환경적인 냉매로, 기존 공기조화용 냉매들과 온도/압력 조건이 비슷합니다. 다만, 매우 높은 가격과 약간의 미연성으로 도입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Availability of refrigerant(장치의 가용성) : 장치는 기존 냉동싸이클 설비와 비슷합니다.

Availability of expertize(전문자료 가용성) :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Cost of refrigerant(냉매의 가격) : 매우 비싼편입니다. 이는 향후 냉매를 재충전시 사용자로 하여금 많은 고민을 하게 할 것입니다.

Cost of system(시스템의 비용) : 장치를 구성하는 비용은 일반 냉매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1234yf 냉매 가격이 비싼이유는?

허니웰과 듀폰이 특허를 가지고 있다

 

 

도움 출처> https://m.blog.naver.com/hvackkw/220635032489

                https://m.blog.naver.com/retroyj/30140393907

반응형
Posted by 학선류 천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