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 이후 출시된 자동차들은 1234yf 일명 신냉매로 들어가 있습니다
이거 냉매값 많이 비쌉니다
에어콘 냉매 채우면 30만원은 우습게 나가죠
구형 134 냉매는 사용 불가능한가?
계속 의문이 들었습니다
냉방성은 구형 134가 더 좋다고 합니다
다만 환경에 안좋기 때문에 금지 되었다고 합니다
신냉매 1234의 최대 단점은 화재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1234차량에 134 넣으며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
소음증가 TXV 팽창밸브쪽에서 작동소음 증가
1234에 맞게 셋팅 되었기 때문에 어떤 문제가 발생될지 모른다
구형과 신냉매 냉동유는 POE 동일 합니다
다만,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는 화재 위험성 때문에
절연성 PAG계열 오일 사용합니다
1234 냉매의 단점은 화재 위험이 있습니다...
하브 및 전기차량에서 1234차량에서 134로 냉매 교체시 냉동유도 제거하긴하나,
잔유가 남아 있어서 섞일 가능성 있습니다
1234에서 134 교체시 냉매 압력차에 의해서 5%가량 적게 주입
LF소나타의 경우 134 또는 1234 냉매 사용 가능하다고 스티커 붙어있습니다
선택은 차주 본인의 몫~
반응형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미로보는 전동공구 무선전동공구 계급도 알아봅시다 (0) | 2023.07.04 |
---|---|
2023년 1월~6월 현대기아 고장 수리대수 (0) | 2023.06.20 |
인산철 배터리 모니터링 리시버 BM2 설정 방법 (0) | 2023.06.17 |
자동차 차체 샤시 보강 파츠 튜닝파츠 야마하 퍼포먼스 댐퍼 (0) | 2023.05.01 |
ARRMA 알씨카 크라톤 아웃캐스트 탈리온 바디 보호 가드 바디포스트 레일 (0) | 2023.01.12 |